성과공개

홈 성과공개 상세 정보

상세 정보

논문
거주 후 평가(POE)에 기반한 근린생활시설의 대지 요소별 중요도-만족도 분석 및 우선 개선요소 - 대구광역시 소재 1,001개 응답 상위 30% 건물을 대상으로
연도
4차
분류
구성기술1
연구기관
경북대학교
구분2
일반학술지
논문명
거주 후 평가(POE)에 기반한 근린생활시설의 대지 요소별 중요도-만족도 분석 및 우선 개선요소 - 대구광역시 소재 1,001개 응답 상위 30% 건물을 대상으로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and Improvement Priorities in Neighborhood Facilities based on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Considering Site Elements- On Buildings in Daegu from the Top 30% o
학술지명
대한건축학회 합동논문집
ISSN
학술지 볼륨번호
게재일
논문페이지
주저자명
김훈
교신저자명
우소영,추승연
공동저자명

논문 초록
건축물 완공 이후, 이용자들은 거주 및 이용을 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거주 후 평가(POE, Post Occupancy Evaluation)를 진행하게 된다. 거주 후 평가란, 완공 후 건물들을 이용하면서 유사한 다른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진행하는 절차이지만, 대부분은 건물의 홍보목적이나 집합주택에 많이 국한되어 진행해온 실정이다. 따라서, 거주 후 평가의 본래의 의미보다 더 제한적으로 활용되었다. 때문에 본 연구는 거주 후 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계획에 직관적으로 연계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과 필요성을 확인하는 과정상의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근린생활시설은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하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규모, 입지, 배치, 건축 계획에 대한 고려사항들이 정교하게 제시되지 못한 채, 법적 기준에 의존하여 지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22~2023년에 진행한 1,001건의 거주 후 평가 응답 데이터와 응답 대상으로 확인한 552개의 주소지의 대지 특성(대지 형태, 접도 조건 등)을 통합하여, 대지 요소 별로 만족도가 높은 범위를 확인하고,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대지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거주 후 평가라는 건축물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조사로만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계획요소의 제안요소를 도출하고자 해당 건축물에서 알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 기반의 IPA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추후 POE에 기반하여 건축물 계획을 지원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의 고도화를 기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현행 거주 후 평가의 단점을 개선하여 분석 결과를 디자인 실행에 직관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차별성과 의의를 가진다.